불법 리베이트 의혹 ‘불편한 진실’
오너·사외이사 향한 ‘뒷말’

[월요신문=이명진 기자] 신풍제약이 불법 리베이트 의혹으로 또 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풍제약은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상여금 항목을 활용해 임금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성,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했다. 소득세율 상승으로 증가하는 세금의 경우 일부 보전해주기도 한 것으로 알려진다. 리베이트는 병원에 처방코드가 등록되고 일정 처방이 이뤄지면 현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직원들의 임금을 활용한 리베이트 금액은 처방에 따라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다양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신풍제약 관계자는 “신풍제약의 5년간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마이너스 성장”이라며 “이런 상황 속 현재 근무하고 있는 영업사원들도 예전과 같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리베이트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 진행 및 ISO 인증을 준비하고 있다”며 “제보한 직원은 과거 퇴사한 직원으로 추측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불법 리베이트 등 신풍제약을 둘러싼 잡음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 2008년 제네릭의약품(복제약) 생동성시험 조작 파문이 일었고, 2009년과 2010년에는 분식회계 혐의를 받기도 했다. 생동성 시험은 오리지널 의약품(특허의약품)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증명하는 것으로, 이를 조작하는 것은 제약사 윤리에 어긋나는 행위다.

또 분식회계 역시 기업윤리를 벗어나는 행위다. 혐의가 적발됐을 당시 신풍제약은 지난 2009년·2010년 실적 가운데 매출채권을 100억원 넘게 과대 계상했고, 의약품 판매대금을 리베이트에 사용한 후 이를 회계에 반영하지 않았다. 반면 매출채권 부실에 대비해 쌓아놓은 충당금은 덜 계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나아가 지난 2013년 세무조사 과정에서는 사용처가 불분명한 비자금 150억원을 조성해 불법 리베이트 등에 사용한 것이 적발됐으며, 조사당국에 넘겨진 관련자 명단에 포함된 일부 의사로부터 제기된 소송에서 패배하는 등 의료계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이후 2015년에는 의약품 생산공장에 파견근로자를 고용했다가 정부 점검을 앞두고 해고한 사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 불법파견 논란도 일었다. 현행법상 제조업 직접생산은 파견이 금지돼 있다. 의약품은 인체 건강과도 직결될 수 있어 근로자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신풍제약은 과태료 처분만 받았다.

리베이트·회계 이슈와 맞물린 오너·사외이사를 향한 구설도 존재한다.

1962년 설립된 신풍제약은 고(故) 창업자 장용택 회장이 지난 2016년 사망한 후 오너 2세인 장원준 사장이 진두지휘해왔다. 장 사장은 지난 2004년 사내이사로 취임하는 등 일찌감치 경영에 합류, 경영승계를 준비해온 바 있다. 이후 2006년, 신풍제약의 지분을 양도 받아 대주주로도 올라서 사실상 경영승계를 마쳤다는 평이 나오곤 했다. 그러나 그의 합류 이후 신풍제약은 생동성시험 조작 파문, 분식회계, 리베이트 등 끊임없는 구설수에 휘말리며 적잖은 풍파를 맞았다. 이로 인해 장 사장은 지난 2011년 5월, 스스로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장 사장은 비공식적으로 사장 역할을 꾸준히 수행해왔던 것으로 알려진다. 실제 지난 2015년부터 사업보고서에는 다시 비등기이사 상근사장으로 그의 이름이 올라가고 있다.

사외이사 선임과 관련해서도 뒷말이 많다. 기업 경영과 크게 관련이 없는 이력을 가진 인사가 사외이사 후보로 거론됐다는 게 이유다. 신풍제약은 지난해 한승철 전 대검찰청 감찰부장을 신규 사외이사로 선임한 데 이어 올해는 청와대 민정수석 비서관 출신인 김앤장 법률사무소 정진영 변호사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때문에 리베이트 등 부정적인 이슈 해결을 위한 이른바 ‘얼굴 마담’을 내세우기 위한 선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특히 올 초 주총에서는 리베이트나 회계 관련 이슈 등으로 곤욕을 치뤘던 회사 대부분이 판검사 출신 등을 사외이사 후보로 지정한 사례가 많았다”며 “아무래도 회사 경영에는 특별한 이력이 없는 인사들이기에 리베이트 등 이슈 해결을 위해 ‘얼굴 마담’을 내세운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